스프링

문제 상황 프로젝트를 하던 중, 리포지터리 단계의 테스트를 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었습니다. No qualifying bean of type '...'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d.. 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인데요, 코드를 어떻게 짰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MemberMissionsJpaRepositoryTest 문제가 발생한 지점인 MemberMissionsJpaRepositoryTest 코드입니다. @DisplayNameGeneration은 언더 바(_)를 공백으로 치환할 때 썼고, @SuppressWarnings은 한글에 대해 경고 줄이 뜨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였습니다. @DataJpaTest는 ..
개요 이번에도 멘토링 프로젝트 개발을 하며 마주친 이슈입니다. 이번에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여러 번 하면서 별로 겪지 않았었지만, 프로젝트를 오랜만에 하다 보니 접하게 된 실수에 가까웠습니다. 그럼에도 다신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공유해보려 합니다! 문제 상황 어쩌면 순수 자바로 개발하다가 스프링으로 넘어갈 때 한 번쯤은 접하셨을 실수였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글 (Board) 쓰기 코드를 작성하며, 글 작성에 사용되는 요청 dto는 아래처럼 레코드로 작성했었습니다. (응답 dto는 여기에 id도 추가했습니다.) public record BoardCreateRequest(String title, String content) { } 그리고 생성 코드는 아래처럼 작성했었습니다. @PostMapping..
문제 발생 전학교 선배 분께 좋은 기회로 스프링에 대해 멘토링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멘토링 과제로 간단한 게시판부터 만들어보고 있었습니다.문제 발생게시글 (Board)에 대한 리포지토리를 작성하던 도중, 순환 참조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저는 게시글에 관련된 리포지토리의 구현체들을 여러 개로 두고 싶어, 완전히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인 BoardRepository를 만들고, 스프링 데이터 JPA 인터페이스로 BoardJpaRepository를 만들었었습니다. 그리고 스프링 데이터 환경에서 BoardRepository를 구현하는 BoardJpaRepositoryImpl을 만들었습니다. 즉,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interface BoardRepository { Long save(fin..
dev_writer
'스프링'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