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안녕하세요 devwriter입니다. 오늘은 [자바 잘 읽는 법] 책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겠습니다.  책은 크게 트러블슈팅 기본 테크닉, 트러블슈팅 고급 테크닉, 대규모 시스템의 트러블슈팅, 부록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트러블슈팅 기본 테크닉먼저 트러블슈팅이란 무엇일까요? 위키백과에 따르면 트러블슈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은 문제 해결의 일종으로, 망가진 제품, 또는 기계 시스템의 망가진 프로세스를 수리하는 일에 주로 적용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문제의 원인을 논리적이고 올바르게 찾는 일이며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운영을 재개할 수 있게 한다. 트러블슈팅은 증상 식별에 필수적이다. 이렇듯 트러블슈팅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일종이며, 실제 서비스가 돌아가는 상..
개요 이번에도 멘토링 프로젝트 개발을 하며 마주친 이슈입니다. 이번에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여러 번 하면서 별로 겪지 않았었지만, 프로젝트를 오랜만에 하다 보니 접하게 된 실수에 가까웠습니다. 그럼에도 다신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공유해보려 합니다! 문제 상황 어쩌면 순수 자바로 개발하다가 스프링으로 넘어갈 때 한 번쯤은 접하셨을 실수였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글 (Board) 쓰기 코드를 작성하며, 글 작성에 사용되는 요청 dto는 아래처럼 레코드로 작성했었습니다. (응답 dto는 여기에 id도 추가했습니다.) public record BoardCreateRequest(String title, String content) { } 그리고 생성 코드는 아래처럼 작성했었습니다. @PostMapping..
dev_writer
'자바'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