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이번 시간에는 깃허브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슈 & PR 자동화 스크립트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깃허브를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대부분 아실 개념들일 텐데요, PR이 merge 되면 관련 이슈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겠습니다. Issue깃허브에서 이슈 (Issue)란, 모든 종류의 문제를 의미합니다. 예시로 Spring AI의 이슈를 보면 아래와 같이 여러 개가 있습니다. 깃허브의 공식 문서에서는 이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GitHub Issue란?우리 모두는 우리의 작업을 계획하고, 문제를 추적하고, 우리가 구축하는 것들을 논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보편적인 질문에 대한 우리의 대답은 깃허브 이슈이며, 그것은 모든 저장소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깃허브의 이슈..
전체 글
항상 부족합니다. 목표를 이룰 때 까지 계속 달리겠습니다.안녕하세요 devwriter입니다. 오늘은 [자바 잘 읽는 법] 책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겠습니다. 책은 크게 트러블슈팅 기본 테크닉, 트러블슈팅 고급 테크닉, 대규모 시스템의 트러블슈팅, 부록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트러블슈팅 기본 테크닉먼저 트러블슈팅이란 무엇일까요? 위키백과에 따르면 트러블슈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은 문제 해결의 일종으로, 망가진 제품, 또는 기계 시스템의 망가진 프로세스를 수리하는 일에 주로 적용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문제의 원인을 논리적이고 올바르게 찾는 일이며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운영을 재개할 수 있게 한다. 트러블슈팅은 증상 식별에 필수적이다. 이렇듯 트러블슈팅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일종이며, 실제 서비스가 돌아가는 상..
본 내용은 24.05.22 Spring AI에 대해 변경점이 생긴 이유로 최신 버전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대략적인 원리는 같으나, 변경점에 대해 아시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글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개요요새 ChatGPT 등 생성형 AI를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차원에서 생성형 AI를 프로젝트에 넣어보고자 하는 분들이 많은 기류를 느끼고 있습니다. 스프링에서는 아래의 영상을 통해 자체 기술인 Spring AI를 소개하는 영상을 만들기도 하였죠.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기술이다 보니, 아직 이 기술을 블로그에 기록하신 분이 많이 없는 것 같아 프로젝트 상황에서 적용한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글에서 진행할 예시는 OpenAI의 ChatGPT를 결합하여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
뒤늦은 4월 회고하고 있는 게 많아 처음으로 시간이 좀 지난 회고를 하게 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에는 30일에 남겼지만 블로그는 더 늦게..!) 저번 달에는 SOPT를 불합격하고, 다른 일들의 영향으로 방황기를 겪는 만큼 우울한 날이 많았는데 이번 달 (4월)을 돌이켜보면 저번 달처럼 크게 우울하게 보낸 것 같지는 않습니다. 1. 서평단 선정 가장 최근에 일어난 일이지만 너무 좋은 소식이라 가장 첫 번째에 작성합니다. 그동안 저는 현재 개발 업계에서 유명하신 분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책과 강의를 만드시는 것을 보고 저 또한 취업을 하고 경력을 쌓게 된다면 제 이름으로 된 책이나 강의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출판사와 가까워지는 연습을 해두는 것이 첫걸음이라는 것..
3월 회고 어느덧, 3월이 끝나면서 2024년 1분기도 함께 끝났습니다. 이번 달에는 잠깐의 방황기를 보낸 영향이 많았습니다. 1. 3월 PCCP 응시 - Lv1 이번에도 PCCP를 봤지만, 코딩테스트에 대해 많은 대비를 하고 있지 않았어서 큰 기대는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과 또한 이전과 같이 Lv1이 나왔습니다. 문제 유형으로는 구현, 구현/시뮬레이션, 완전 탐색, 그래프 문제였습니다. 저번 달과 유형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앞으로 1번 문제는 최대한 빨리 풀고, 2~4번 문제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도록 하기, 그리고 그래프 문제에 더 대비를 많이 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4월은 중간고사가 겹쳐있는 시즌인데.. 우선순위를 잘 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SOPT 동아리 지원 - 서류 탈락..
오랜만에 기술 팁을 작성하겠습니다. 사실 JWT 관련해서 글을 계속 작성하고 있었는데, 프로젝트도 있고 개강을 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바쁜 것도 있어서 팁 글은 거의 한 달 만에 올리네요.. 😭 프로젝트를 하며 바쁘게 된 것도 있지만 그 덕분에 REST Docs에 대해 더 잘 다룰 수 있게 되어 이 과정을 공유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document 메서드로 간단히 docs 패키지 아래에 html 문서들이 보관되는 것까지 다루었는데요, 이번에는 테스트를 통해 실제 문서가 작성되도록 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테스트 코드기존 테스트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표현은 생략@DisplayNameGeneration(DisplayNameGenerator.ReplaceUnderscores.c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