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ev_writer입니다. 오늘은 [대규모 리액트 웹 앱 개발] 책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겠습니다.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습니다.시작하며소프트웨어 복잡성 관리하기모듈성성능디자인 시스템데이터 가져오기상태 관리국제화코드 조직화하기개인화와 A/B 테스팅확장 가능한 웹 아키텍처테스팅툴링기술적 마이그레이션타입스크립트라우팅사용자 중심 API 디자인리액트의 미래맺음말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의 정의가장 먼저,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용어의 올바른 정의가 무엇일까요? 책에서는 시작하면서부터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있습니다.우리는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수십 명 혹은 그 이상의 엔지니어로 구성된 대규모 팀에 의해 개발되었거나,..
안녕하세요 dev_writer입니다. 작년 1월, 현 블로그에서 처음으로 월별 회고를 쓰기 시작했는데 벌써 1년이 되었다는 게 믿기지가 않네요. 취업도 무사히 완료되고 시간이 생긴 만큼, 올해부터 다시 월별 회고를 이어보고자 이번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좋았던 점수습 기간 통과가장 신경을 많이 쓰고 노력했던, 현재 회사에서의 수습 평가 기간을 통과하였습니다. 수습 기간을 보내면서 몸으로 느꼈던 부분들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기술에서 은탄환은 없다.개발자를 준비하시는 분들이시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말일 텐데요, 바로 "은탄환은 없다"입니다. 사내에서는 코틀린/스프링 조합, 타입스크립트/익스프레스 조합 등 여러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JVM 위주로 준비하고, 그렇기에 첫 업무도 JVM을 희망했던..
안녕하세요 dev_writer입니다. 오늘은 길벗출판사의 라는 책을 제공받아 리뷰하게 되었습니다. 회사에서 아직은 코틀린 업무를 받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는 꼭 다루고 싶은 기술인 데다가 객체지향과 함수형의 차이를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지 궁금하여 리뷰어에 신청하였습니다. 목차 소개책은 크게 아래의 18개 목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0장: 왜 함수형 프로그래밍인가?][1장: 애플리케이션 준비하기][2장: 함수로 HTTP 다루기][3장: 도메인 정의 및 테스트][4장: 도메인과 어댑터 모델링하기][5장: 이벤트를 사용해 상태 수정하기][6장: 커맨드 실행해서 이벤트 생성하기][7장: 함수형으로 오류 처리하기][8장: 펑터를 사용해 이벤트 투영하기][9장: 모나드를 사용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영속화하기][10..
안녕하세요 dev_writer입니다. 오늘은 다소 심플한 주제로, JS/TS 프로젝트를 Webstorm에서 시작할 때 어떻게 하면 좀 더 편하게 시작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는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그동안 IntelliJ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만 진행했다 보니 JS/TS 신규 프로젝트를 Webstorm에서 시작하는 방법을 자주 찾게 되었는데, 이 참에 블로그에 정리해 두면 개인적으로도 요긴하게 쓰일 것 같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실행 환경: Mac실행 언어: TypeScript실행 프레임워크: ExpressWebstorm, nvm, node는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React 라이브러리를 쓰던, Nest.js 프레임워크를 쓰던 Eslint나 Prettier 설정은 본 글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안녕하세요 dev_writer입니다. 이번에는 그동안 작성하지 못했던 하반기를 포함해, 2024년을 전체적으로 회고해보려 합니다. 1월 ~ 4월4월까지는 SW마에스트로, 우아한테크코스 (23년 12월) 및 다른 개발 동아리들에 지원할 때마다 불합격이라는 결과를 마주쳤다는 사실에 앞으로 개발자를 할 수 있을지, 내가 성장하고는 있는 것인지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였던 시기였습니다. 이전에 간간히 겪었던 번아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낙담했었고, 인생 처음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 가본 뒤 우울증은 아니지만 위험도가 높다는 결과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지금에야 돌이켜보면 본격적인 취준 전 겪어지는 통과의례였던 것 같습니다 🥲 그나마 좋았던 일로는 에 서평단으로 선정되었던 것과 PCCP Lv2로 갱신할 수 있었던..
안녕하세요 dev_writer입니다. 현 회사에 입사하면서 axios를 현업에서 처음 다루게 되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알게 된 axios와 axios 인터셉터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 글에 사용되는 axios는 1.7.9 버전을 이용하였습니다. Axios우선 axios는 node.js와 브라우저를 위한 Promise 기반 HTTP 클라이언트입니다. (axios 소개 문서) 특징서버 사이드에서는 node.js의 http 모듈을, 브라우저에서는 XMLHttpRequest를 사용합니다.Promise API를 지원합니다.요청 및 응답을 인터셉트할 수 있습니다.JSON 데이터를 자동으로 변환합니다.XSRF (Cross-site request forgery, 크로스 사이트 요청 위조)를 막기 위한 클라이언트 ..